인터넷을 쏴서 드론을 잡는 ‘드론 인터셉터’… ‘프로펠러, 움직이지마’ 입력 2022.05.01.오후 10:09 기사 원문 인터넷을 쏴서 드론을 잡는 ‘드론 인터셉터’… ‘프로펠러, 움직이지마’ 입력 2022.05.01.오후 10:09 기사 원문
이정호 기자 추천 1본문 요약봇 글자크기 변경 SNS 전송인쇄 [경향신문] 이정호 기자 추천 1본문 요약봇 글자크기 변경 SNS 전송인쇄 [경향신문]
리투아니아 연구진의 소형 요격용 무인기 개발 저비용 고효율의 강점 하늘 보안관 역할 기대 방탄복을 만드는 튼튼한 재질의 섬유로 짠 그물을 적의 드론(무인기)에 뿌리듯 투척해 요격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그물을 쓴 드론은 프로펠러 회전이 완전히 멈추면서 땅으로 추락한다. 레이저와 같은 복잡한 무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정찰이나 공격을 위해 다가오는 적 드론을 막는 방법이 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과학매체 뉴아트라스 등 외신은 리투아니아 엔지니어인 알렉세이 자이체프스키가 이끄는 연구진이 적 드론을 효과적으로 잡을 수 있는 요격용 드론인 ‘드론 인터셉터(사진)’를 개발했다고 최근 전했다. 드론 인터셉터는 무게에 비해 모터의 출력이 매우 크다. 벌새처럼 잽싸게 움직인다. 인터넷에 공개된 비행영상을 보면 목표물을 발견하면 빨리 이륙해 순식간에 하늘을 가르며 이동한다. 프로펠러가 4개 달려 있어 가정용 커피 머신만큼 크기가 작다. 드론 인터셉터가 가진 진짜 특징은 탑재한 무기에 있다. 케블라 섬유로 짠 그물이다. 케블러는 미국 듀폰사가 1971년 개발했는데 튼튼하고 튼튼한 데다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난 인공섬유다. 같은 굵기라면 강도가 강철보다 5배나 높다. 이 때문에 방탄복이나 방탄모를 만드는 데 쓰인다. 드론 인터셉터는 케블러로 만들어진 이 그물을 요격 대상이 되는 적 드론에 던지듯 발사한다. 공개된 영상을 보면 드론의 인터셉터는 적 드론 아래로 들어가 로켓을 발사하듯 그물을 하늘 방향으로 쏘아 올린다. 사거리는 45m 안팎이다. 발사된 그물은 한 변이 2m 안팎인 사각형 모양으로 전개된다. 적 드론은 그물에 프로펠러가 엉켜 곧바로 추락한다. 튼튼한 케블라 섬유로 만든 그물을 프로펠러의 회전력이 당해낼 재능은 없다. 드론을 잡기 위해 요즘 세계 각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무기는 레이저다. 함정이나 차량에 배치해 적 드론이 접근할 때 쏜다. 동체나 엔진을 손상시키면서 추락을 유발한다. 하지만 레이저 무기에는 첨단 기술이 필요하다. 레이저 자체는 한 번에 1000원 정도의 비용으로 재발사할 수 있지만 개발과 생산 비용이 만만치 않다. 파괴력에 따라 다르지만 레이저 무기 개발에 1조원 이상을 쓰는 나라도 있다. 그러나 자이체프스키가 이끄는 연구진이 만든 드론 인터셉터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정확한 드론 값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레이저를 비롯한 다른 요격용 무기보다 가격이 낮을 가능성이 높다. 연구진은 지상을 순찰하는 차량에 이 드론을 여러 대 탑재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통제구역에 들어온 적 드론이 눈에 띄자 차를 세운 뒤 발사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뉴 아틀라스를 통해 “드론 인터셉터는 1~2년 뒤 상용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정호 기자 [email protected] 리투아니아 연구진의 소형 요격용 무인기 개발 저비용 고효율의 강점 하늘 보안관 역할 기대 방탄복을 만드는 튼튼한 재질의 섬유로 짠 그물을 적의 드론(무인기)에 뿌리듯 투척해 요격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그물을 쓴 드론은 프로펠러 회전이 완전히 멈추면서 땅으로 추락한다. 레이저와 같은 복잡한 무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정찰이나 공격을 위해 다가오는 적 드론을 막는 방법이 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과학매체 뉴아트라스 등 외신은 리투아니아 엔지니어인 알렉세이 자이체프스키가 이끄는 연구진이 적 드론을 효과적으로 잡을 수 있는 요격용 드론인 ‘드론 인터셉터(사진)’를 개발했다고 최근 전했다. 드론 인터셉터는 무게에 비해 모터의 출력이 매우 크다. 벌새처럼 잽싸게 움직인다. 인터넷에 공개된 비행영상을 보면 목표물을 발견하면 빨리 이륙해 순식간에 하늘을 가르며 이동한다. 프로펠러가 4개 달려 있어 가정용 커피 머신만큼 크기가 작다. 드론 인터셉터가 가진 진짜 특징은 탑재한 무기에 있다. 케블라 섬유로 짠 그물이다. 케블러는 미국 듀폰사가 1971년 개발했는데 튼튼하고 튼튼한 데다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난 인공섬유다. 같은 굵기라면 강도가 강철보다 5배나 높다. 이 때문에 방탄복이나 방탄모를 만드는 데 쓰인다. 드론 인터셉터는 케블러로 만들어진 이 그물을 요격 대상이 되는 적 드론에 던지듯 발사한다. 공개된 영상을 보면 드론의 인터셉터는 적 드론 아래로 들어가 로켓을 발사하듯 그물을 하늘 방향으로 쏘아 올린다. 사거리는 45m 안팎이다. 발사된 그물은 한 변이 2m 안팎인 사각형 모양으로 전개된다. 적 드론은 그물에 프로펠러가 엉켜 곧바로 추락한다. 튼튼한 케블라 섬유로 만든 그물을 프로펠러의 회전력이 당해낼 재능은 없다. 드론을 잡기 위해 요즘 세계 각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무기는 레이저다. 함정이나 차량에 배치해 적 드론이 접근할 때 쏜다. 동체나 엔진을 손상시키면서 추락을 유발한다. 하지만 레이저 무기에는 첨단 기술이 필요하다. 레이저 자체는 한 번에 1000원 정도의 비용으로 재발사할 수 있지만 개발과 생산 비용이 만만치 않다. 파괴력에 따라 다르지만 레이저 무기 개발에 1조원 이상을 쓰는 나라도 있다. 그러나 자이체프스키가 이끄는 연구진이 만든 드론 인터셉터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정확한 드론 값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레이저를 비롯한 다른 요격용 무기보다 가격이 낮을 가능성이 높다. 연구진은 지상을 순찰하는 차량에 이 드론을 여러 대 탑재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통제구역에 들어온 적 드론이 눈에 띄자 차를 세운 뒤 발사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뉴 아틀라스를 통해 “드론 인터셉터는 1~2년 뒤 상용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정 호 기자 [email protected]